코모도 인터넷 시큐리티/코모도 방화벽에는 여러 유용한 보안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오늘 소개할 기능은 가상 프로그램 설정이다.
최근 네이버의 지식인에 보면, 안전하다고 평가받으면서 가장 높은 시장점유율을 자랑하는 구글 크롬조차 애드웨어의 공격대상이 되고있다고 한다.
그래서 구글조차 자체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제거되지 않은 프로그램은 스파이웨어 제거프로그램 말웨어바이트(MalwareBytes)를 소개할 정도이다.
구글 한국지사가 있는데도, 말웨어도 아니고 멀웨어라고 하니 참 아니다 싶다. 악성프로그램이라고 하면 한국인 모두가 해당 프로그램의 위험성을 바로 알 수 있을텐데, 알 수 없는 일이다.
또한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타를 암호화하는 랜섬웨어 프로그램 역시 인터넷 이용중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여러 악성프로그램의 주요 침입경로중 하나인 브라우저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기능 중 하나가 가상화 기능이다.
가상화 기능
이 기능은 단순히 브라우저뿐만 아니라, 여러 응용프로그램의 안정성 테스트 차원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정내 아동 등 컴퓨터의 위험성을 잘 모르는 사용자에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단순히 아래에서 소개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다. 여러분이 활용하기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 아래 그림에서처럼 시계표시줄에 있는 [코모도 인터넷 시큐리티 또는 코모도 방화벽 ]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열기]를 누른다.

- 아래와 같은 대화창이 뜨면, 2번 작업전환을 누른다.

- [3번 제한구역실행 작업] 탭을 누른 뒤 [가상화 실행]을 누른다.

- 아래와 같은 대화창이 나타나면 4번 [가상 데스크탑 바로가기 만들기]의 체크박스를 선택하고 [ 선택하여 실행]을 누른다.

- 탐색기가 열리면,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해주면 되는데, 여기서는 여전히 많이 사용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브라우저를 대상으로 해보겠다.

- 바탕화면에 인터넷 익스플로러 브라우저가 있다고 가정하고 아이콘을 선택한 뒤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속성]을 누른다.

- 아래와 같이 속성창이 뜨면, 7번에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위치가 선택되어 있으면, 그대로 Ctrl + C를 눌러 복사한다.

- 앞에서 복사한 것을 [파일이름란]에 복사하고 8번 열기를 누른다.

- 아래 그림 9번처럼 [가상 Internet Explorer]라는 아이콘이 만들어지고,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우저 테두리를 보면 연녹색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가상 브라우저 상태에서 사용자가 알아야할 것은 2가지다.
- 가상 기능 상태에서는 사용된 데이타는 가상 기능 상태에서만 유지된다.
- 인터넷상에서 파일을 내려받으면, 해당 파일은 저장되지 않는다.
단, [공유 공간] 에 저장한 경우는 이용가능하다. [공유공간 ]의 위치는 아래 그림의 10번을 누르면 확인할 수 있다. 기본적인 위치는 아래와 같다.
C:\ProgramData\Shared Space

- 프로그램을 사용후, 가상 기능에서 사용된 데이타를 지우려면, 위의 그림 11번 [제한구역실행 초기화]를 누르면 된다.
- 아래는 [제한구역실행 초기화]를 눌렀을 때의 화면이다. 12번 [변경사항 지우기]를 누른다.

- 아래 그림처럼 제한구역실행 초기화 작업이 진행된다.

- 초기화 작업이 완료되면, 아래 창이 나타나고, 13번 [계속]을 누르면 된다.

이 [초기화] 작업은 가상의 작업이기 때문에, 앞에서 언급했듯이
- [공유공간] 저장되지 않는 데이타는 사라지며,
- 기타 프로그램에 적용한 설정 역시 사라진다.
특히 브라우저라면 [ 즐겨찾기 | 북마크]가 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능의 갖는 장점은 바로, 인터넷 이용 중 악성프로그램에 감염되었다 하더라도, 실제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감염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가상이란 실제 현실이 아니라, 말 그대로 [가짜와 상상]이기 때문이다.
따 라서 인터넷 환경의 보안 위험성이 전혀 알지 못하는 아동을 둔 가정, 컴퓨터 보안에 대해 모르는 어르신들이 있는 가정의 경우 코모도 인터넷 시큐리티/방화벽에서 이 기능을 활용하면 악성프로그램 감염 걱정없이 안전한 인터넷 이용이 될 것입니다.
'컴퓨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즈7/8 사용자 여전히 윈도우즈10 업그레이드 가능 (0) | 2017.09.25 |
---|---|
시스템백업복구 AOMEI Backupper (0) | 2017.09.10 |
개인방화벽 코모도 인터넷 시큐리티 최신 버전 공개 (0) | 2017.09.02 |
사용중인 보안제품은 랜섬웨어에 효과적인가? (0) | 2017.08.20 |
모든 컴퓨터 문제 이렇게 해결하자 ! 포맷하지 말라 !!! (0) | 2017.08.04 |